스코어(Score)는 주로 공연예술에서 작품을 구상하고 창작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활용됨으로써 미래시제로 작동한다 동시에 완성된 공연을 비추는 거울이며 또 저장고*로서 이미 일어난 순간들을 반추하기에 용이한 수단이기도 하다 공연예술과 사뭇 다른 시간의 작동방식을 갖는 듯한 시각예술 또한 근본적으로는 시간을 매개하여 창작과 감상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스코어는 시각예술 작품이 순환하는 현상을 관찰하기에도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데이비드 조슬릿(David Joslet)은 뉴욕현대미술관의 수많은 관객들이 회화작품의 사진을 찍는 현상에 대해 마치 음악이 무한히 연주될 것을 담보하는 스코어링(Scoring)과 같다고 말한다 또한 예술가의 경험의 흐름을 표시한 표면인 회화와 그것을 저장하고 스코어링하는 관객 경험의 관계를 사유한다.*
스코어 및 스코어링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격주로는 〈관람 스코어〉를 관객 연구 활동의 핵심 개념이자 연구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관람 스코어〉에 대해 구성원 각자는 조금씩 다른 방향의 정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정의(들)은 본래의 어휘를 빌려온 분야 무용 및 연극에서 통용되는 것과 일치하는 부분도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실제 활동 속에서 실천해온 격주로의 〈관람 스코어〉는 다음의 사항들로 정리될 수 있다
1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경험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2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3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공간 안에서의 움직임과 신체적 경험에 주목한다
4 관람 스코어는 물리적인 전시 공간과 도면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들의 서로 다른 경험을 전제한다 그리고 이 경험을 관객이 직접 기록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관람 스코어〉는 관객의 다수적 경험에 접근하는 개념적 틀이자 그것을 시각화하는 도구이다 격주로의 구성원들은 전시장에서의 동선 기록을 관람 스코어의 첫 번째 방식으로 실천해왔다 이것은 전시 도면 위에 덧그려진 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각각의 관객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궤적을통해저마다서로다른관람순서및공간경험을드러낼수있다
이후 〈관람 스코어〉에서 다루는 관객의 경험은 전시장 내부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공간 바깥으로 확장되었다 이는 전시장 안팎으로 이어지는 관객의 궤적을 〈관람 스코어〉에 포함하여 전시장이 위치한 보다 넓은 범위의 장소성 더욱 포괄적인 문화적 맥락을 관람 경험에 끌어들이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간 격주로가 생산한 〈관람 스코어〉는 리뷰 토크와 전시 등을 통해 공유되었다 격주로는 동선 기록 외에도 〈관람 스코어〉의 보다
다양한 실천 방식을 연구했다 ᅵ씨는 전시의 내용과 공간을 드로잉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해왔는데 이 드로잉 속의 공간은 실제 전시장의 재현이 아닌 개인의 기억과 감상에 의해 변형된 전시 도면이나 의미의 다이어그램 등으로 나타난다 ᅳ씨는 자신의 관람 경험을 전시 도면 위에 동선과 글로 기록해왔다 이를 통해 관객의 몸이나 우연한 상황과 같은 변수들에 의해 달리 완성되는 관람 경험을 드러내고 자신이 인상깊게 얻은 미적 경험을 추적하고 소유하고자 했다 ᄀ 씨는 격주로가 리뷰한 전시를 3D 모델로 재구성해왔다 전시 도면과 격주로 구성원 각자의 동선 기록 현장에서 찍은 작품 사진 등을 활용해 만든 이 공간은 과거의 감상 경험을 디지털 공간 속에 보존하고 때로는 재상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든 활동에는 격주로가 〈관람 스코어〉를 통해 발전시켜온 관객의 신체 경험 각 개인의 주관적 공간 경험 그리고 전시장을 떠난 이후에도 관객에게 남아 지속되는 경험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을 추적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탐구가 담겨있다 격주로의 〈관람 스코어〉는 어떤 완성된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관객이 저마다의 〈관람 스코어〉를 발견하고 실천하기를 그리하여 관객의 다중적 실체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그 사이의 대화를 이끌어낼 수단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제안하는 활동이다
* 오민, 『스코어 스코어』, 워크룸 프레스, 2017, 139쪽.
* David Joslet, “Marking, Scoring, Storing, and Speculating(on Time)”, Painting Beyond Itself: The
Medium in the Post- medium Condition, Sternberg Press, 2016, pp.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