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스코어(Score)􏰇는 주로 공연예술에서 작품을 구상하고􏰃 창작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활용됨으로써 미래시제로 작동한다􏰂 동시에 􏰋완성된 공연을 비추는 거울이며 또 저장고􏰌*로서 이미 일어난 순간들을 반추하기에 용이한 수단이기도 하다􏰂 공연예술과 사뭇 다른 시간의 작동방식을 갖는 듯한 시각예술 또한 근본적으로는 시간을 매개하여 창작과 감상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스코어는 시각예술 작품이 순환하는 현상을 관찰하기에도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데이비드 조슬릿(David Joslet)은 뉴욕현대미술관의 수많은 관객들이 회화작품의 사진을 찍는 현상에 대해 마치 음악이 무한히 연주될 것을 담보하는 􏰆스코어링(Scoring)􏰇과 같다고 말한다􏰂 또한 예술가의 경험의 흐름을 표시한 표면인 회화와􏰃 그것을 저장하고 스코어링하는 관객 경험의 관계를 사유한다.*

􏰆스코어􏰍 및 􏰆스코어링􏰍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격주로는 〈관람 스코어〉를 관객 연구 활동의 핵심 개념이자 연구 수단으로 활용해왔다􏰂 〈관람 스코어〉에 대해 구성원 각자는 조금씩 다른 방향의 정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정의(들)은 본래의 어휘를 빌려온 분야 􏰅무용 및 연극􏰅에서 통용되는 것과 일치하는 부분도􏰃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실제 활동 속에서 실천해온 격주로의 〈관람 스코어〉는 다음의 사항들로 정리될 수 있다􏰂

1􏰂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경험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2􏰂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3􏰂 관람 스코어는 개인의 전시 공간 안에서의 움직임과 신체적 경험에 주목한다􏰂
4􏰂 관람 스코어는 물리적인 전시 공간과 도면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들의 서로 다른 경험을 전제한다􏰂 그리고 이 경험을 관객이 직접 기록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관람 스코어〉는 관객의 다수적 경험에 접근하는 개념적 틀이자 그것을 시각화하는 도구이다􏰂 격주로의 구성원들은 전시장에서의 동선 기록을 관람 스코어의 첫 번째 방식으로 실천해왔다􏰂 이것은 전시 도면 위에 덧그려진 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각각의 관객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궤적을통해􏰃저마다서로다른관람순서및공간경험을드러낼수있다􏰂

이후 〈관람 스코어〉에서 다루는 관객의 경험은 전시장 내부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공간 바깥으로 확장되었다􏰂 이는 전시장 안팎으로 이어지는 관객의 궤적을 〈관람 스코어〉에 포함하여 전시장이 위치한 보다 넓은 범위의 장소성􏰃 더욱 포괄적인 문화적 맥락을 관람 경험에 끌어들이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간 격주로가 생산한 〈관람 스코어〉는 리뷰 토크와 전시 등을 통해 공유되었다􏰂 격주로는 동선 기록 외에도􏰃 〈관람 스코어〉의 보다
다양한 실천 방식을 연구했다􏰂 ᅵ씨는 전시의 내용과 공간을 드로잉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해왔는데􏰃 이 드로잉 속의 공간은 실제 전시장의 재현이 아닌􏰃 개인의 기억과 감상에 의해 변형된 전시 도면이나 의미의 다이어그램 등으로 나타난다􏰂 ᅳ씨는 자신의 관람 경험을 전시 도면 위에 동선과 글로 기록해왔다􏰂 이를 통해 관객의 몸이나 우연한 상황과 같은 변수들에 의해 달리 완성되는 관람 경험을 드러내고􏰃 자신이 인상깊게 얻은 미적 경험을 추적하고 소유하고자 했다􏰂 ᄀ 씨는 격주로가 리뷰한 전시를 3D 모델로 재구성해왔다􏰂 전시 도면과 격주로 구성원 각자의 동선 기록􏰃 현장에서 찍은 작품 사진 등을 활용해 만든 이 공간은 과거의 감상 경험을 디지털 공간 속에 보존하고 때로는 재상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든 활동에는 격주로가 〈관람 스코어〉를 통해 발전시켜온 관객의 신체 경험􏰃 각 개인의 주관적 공간 경험􏰃 그리고 전시장을 떠난 이후에도 관객에게 남아 지속되는 경험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을 추적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탐구가 담겨있다􏰂 격주로의 〈관람 스코어〉는 어떤 완성된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관객이 저마다의 〈관람 스코어〉를 발견하고 실천하기를􏰃 그리하여 관객의 다중적 실체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그 사이의 대화를 이끌어낼 수단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제안하는 활동이다􏰂

*  오민, 『스코어 스코어』, 워크룸 프레스, 2017, 139쪽.

*  David Joslet, “Marking, Scoring, Storing, and Speculating(on Time)”, Painting Beyond Itself: The

    Medium in the Post- medium Condition, Sternberg Press, 2016, pp.15~20.

bottom of page